납부확인서신청하기
보험료계산하기(참고용)
소득이 감소했거나 퇴사·폐업 후에도, 여전히 높은 금액으로 고지되는 건강보험료 때문에 속상하셨나요?
“이 정도면 너무 비싼 거 아닌가?”, “어떻게 조정신청을 하지?”, “납부확인서는 어떻게 발급받지?” 하는 고민으로 고민이 많으실 텐데요.
저 역시 퇴사 후 산정기준을 제대로 몰라서 납부확인서를 확인하는 법도 몰랐고, 덕분에 받을 수 있는 감면과 환급 기회를 놓쳤던 경험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
내 건강보험료에 숨겨진 문제점을 어떻게 찾아낼지
-
조정신청은 어떤 과정을 거쳐야 하는지
-
납부확인서로 직접 산정기준을 검토하고
-
분할납부 및 환급 신청까지 원스톱으로 안내해드립니다.
👉 실전 가이드 바로 이동
1. 보험료를 줄이기 위한 실전 신청 절차
-
The건강보험 앱
1. 로그인 후 ‘보험료 조정신청’ 메뉴 진입
- 팩스 혹은 우편 제출: 신청서 + 납부확인서 및 증빙 동봉
2. 소득 변동 사유 선택 → 납부확인서 포함 증빙 업로드
3. 제출 완료 후 SMS 알림 확인
-
직접 방문: 신분증, 납부확인서 지참 → 지사 상담 접수
2. 조정신청 대상이 되는 경우
-
전년 대비 소득이 월 평균 25% 이상 감소 또는 증가
-
2025년부터 이자·배당·연금·기타소득 포함
-
퇴직·폐업·무상거주 등 사유 해당 시
-
즉시 신청하면 해당 월부터 조정 가능
3. 납부확인서로 내 보험료 내역 직접 확인
-
소득 산정 기준
-
재산 항목: 부동산, 자동차, 금융자산 등
-
세대원 구성 정보
-
산정 기준일
→ 실제 정보와 다르면 정정 신청 가능
4. 산정기준 확인 후 필요한 제출서류
|
조정 사유 |
필요 서류 |
|---|---|
|
소득 변화 |
납부확인서, 소득금액증명서 |
|
퇴직·폐업 |
납부확인서, 해촉증명서 또는 폐업신고서 |
|
재산 변동 |
납부확인서, 등기부등본, 금융 내역 등 |
5. 조정 후 받을 수 있는 혜택
-
보험료 최대 50% 감면 또는 최대 3개월 소급 환급
-
감면 적용 기간: 6~12개월
-
추가납부 시, 12개월까지 분할납부 가능 (5월 12일까지 신청)
6. 일정 안내
-
소득 변동 발생 시 즉시 신청 가능 → 당월부터 적용
-
정산 결과: 매년 11월 확정
-
분할납부 신청 마감일: 매년 5월 12일
7. 지역가입자와 직장가입자 차이
-
지역가입자: 재산·자동차 등 다양한 산정 항목 고려
-
직장가입자: 보수 증가 시 정산고지 발생, 분할납부 가능
8. 소득금액증명서 발급 방법
1. 홈택스 접속 → 로그인 → 민원증명
2. ‘소득금액증명서’ 메뉴 선택
3. PDF로 발급 후 제출
9. 지사 방문 시 준비사항
1. 신분증, 납부확인서, 기타 증빙서류 지참
2. 신청서 작성 및 접수
3. 처리 완료 후 고지서 수정 또는 환급 안내 수령
✔ 자주 묻는 질문 Q&A
Q: 이자·배당소득도 조정신청 가능한가요?
A: 네, 2025년부터 해당 소득도 조정신청 가능합니다.
A: 네, 감소뿐만 아니라 증가한 경우도 가능합니다.
A: 4월 정산고지 후, 5월 12일까지 신청하시면 됩니다.
A: 신청한 해당 월부터 바로 적용됩니다.
A: 보통 4월 고지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Q: 소득 증가한 경우에도 신청할 수 있나요?
Q: 분할납부 신청은 어떻게 하나요?
Q: 즉시 신청하면 언제부터 적용되나요?
Q: 정산 후 환급 또는 추가납부는 언제 확인하나요?
✅ 2025년 건강보험료 제도 변경에 따른 최신 조정신청 정보, 지금 바로 준비해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