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금신청하러가기
정부지원금확인하러가기
출산하면 받을 수 있는 돈,
여전히 “축하금 몇 푼” 정도로 생각하셨다면 큰 오산입니다.
2025년 기준으로는 출산만으로 받을 수 있는 현금과 바우처가
1,000만 원을 넘는 경우도 흔합니다.
신청처도 다르다는 점이죠.
그래서 오늘 이 글 하나로
2025년 기준 출산하면 받을 수 있는 정부 지원금 혜택을
정확하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문제는 각 제도의 이름도 제각각이고,
신청처도 다르다는 점이죠.
그래서 오늘 이 글 하나로
2025년 기준 출산하면 받을 수 있는 정부 지원금 혜택을
정확하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출산 시 받을 수 있는 주요 지원금 목록
1. 첫만남이용권
-
첫째: 200만 원 / 둘째 이상: 300만 원
-
국민행복카드로 바우처 지급 (출생 후 2년 내 사용 가능)
-
신청처: 복지로, 정부24, 주민센터
2. 부모급여 (기존 영아수당 개편)
-
만 0세: 월 100만 원 / 만 1세: 월 50만 원
-
어린이집 이용 시 보육료 + 차액 정산
-
신청처: 복지로 (일부는 자동 연계 지급)
3. 아동수당
-
만 8세 미만 아동 대상, 월 10만 원
-
(만 18세까지 확대는 논의 중이며 시행 전)
-
신청처: 복지로 또는 주민센터
4. 양육수당
-
어린이집을 이용하지 않는 아동에게 지급
-
월 10만 원~20만 원 (연령, 지역에 따라 차등)
-
신청처: 복지로 또는 행정복지센터
5. 출산장려금 (지자체별)
-
금액은 지역에 따라 다름 (예: 서울 중구 100만 원, 충북 단양 500만 원 이상)
-
신청처: 거주지 시청, 군청, 주민센터
6.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
산모도우미를 가정에 파견해주는 서비스 (10~25일)
-
정부지원금 기준 최대 약 150만 원 상당
-
신청처: 복지로 또는 산후조리원 연계
7. 다자녀 가정 혜택
-
셋째 이상 가정에 지역별 추가 지원
-
예: 교통비, 문화포인트, 현금 등
-
신청처: 각 지자체
출산하면 실제로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첫째 기준 예시)
-
첫만남이용권: 200만 원
-
부모급여: 월 100만 원 × 12개월 = 1,200만 원
-
아동수당: 월 10만 원 × 12개월 = 120만 원
-
출산장려금 (서울 중구 예시): 100만 원
-
산모도우미 서비스: 약 120만 원 상당
총합: 약 1,720만 원 상당의 혜택 수령 가능
※ 둘째 이상일 경우 첫만남이용권이 300만 원으로 올라가고
출산장려금도 늘어날 수 있어 총 2,000만 원 이상 가능성도 있습니다.
신청 전 꼭 확인하세요
-
일부 혜택은 신청 기한이 있으며, 놓치면 자동 소멸됩니다.
-
출산 전후 병원이나 기관에서 설명을 못 듣는 경우도 많습니다.
-
복지로 ‘맞춤형 급여 안내’ 서비스에서
본인 조건에 맞는 혜택을 자동으로 추천받을 수 있습니다.
정부지원금 확인 바로가기
복지로 홈페이지 → www.bokjiro.go.kr
‘출산 지원금’ 또는 ‘맞춤형 급여 안내’ 검색
함께 보면 좋은 글
-
육아휴직급여 최대 얼마까지 받을 수 있을까?
-
청년 월세지원금 신청 조건 정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