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신청하러가기
지원대상알아보러가기
퇴사 후 진로를 고민하며
자격증을 준비하는 분들, 많습니다.
그런데 단순히 '공부만' 하시는 분들은 모르고 지나치는 지원금이 있습니다.
바로 <자격증 취득 장려금>입니다.
일부 지자체와 공공기관은
자격증 취득자에게 <응시료 환급 또는 합격 장려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어떤 지원이 있나요?
|
구분 |
지원 내용 |
지원 금액 |
대상 조건 |
|---|---|---|---|
|
서울 동작구 |
국가자격증 취득 시 장려금 |
최대 50만 원 |
만 19~39세, 미취업 청년 |
|
서울 용산구 |
응시료 1인 1회 지원 |
최대 10만 원 |
청년 구직자 |
|
서민금융진흥원 |
직업훈련 + 자격증 연계 장려금 |
최대 30만 원 |
저소득층, 실업자 |
|
건설근로자공제회 |
자격취득 장려금 |
연 50만 원 한도 |
퇴사자 포함 |
※ 지자체별 예산에 따라 조기 마감될 수 있습니다.
누가 신청할 수 있나요?
-
현재 미취업 상태이거나 퇴사자
-
청년층(보통 만 19~34세) 또는 특정 지역 거주자
-
국가자격증 또는 민간 공인자격증을 새로 취득한 경우
※ 시험 준비만으로는 지원되지 않으며, 합격 후 증빙서류 제출이 필요합니다.
신청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1. 자격증 취득 후 합격증 또는 자격증 사본 준비
2. 지자체 홈페이지나 일자리센터에서 신청서 다운로드
3.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신청서+서류 제출
4. 자격 요건 심사 후 계좌 입금 (1~2개월 내 지급)
어떤 자격증이 지원 대상인가요?
-
국가기술자격증(예: 컴퓨터활용능력, 전산세무회계, 전기기능사 등)
-
국가전문자격증(예: 사회복지사, 청소년지도사, 한국어교원 등)
-
민간 공인자격증(일부 제한 있음)
※ 반드시 해당 지자체 공고문에 명시된 자격증 목록을 확인하세요.
이 제도, 이런 분들께 추천합니다
-
퇴사 후 자격증 준비 중인 청년 또는 경력단절자
-
정부 훈련비 외에 추가 비용이 부담되는 분
-
자격증을 기반으로 재취업 또는 창업을 준비하는 분
꼭 기억하세요
자격증은 단순한 공부가 아니라
정부가 인정하는 경력재설계입니다.
그리고 그 과정에도 지원이 있다는 것,
지금 신청만 해도 <최대 50만 원까지 받는 기회>가 있다는 걸 기억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