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카드신청하러가기
자격대상확인하러가기
문화생활은 누구에게나 필요한 권리입니다.
하지만 경제적인 이유로 영화나 공연 한 편 보기도 어려운 분들이 많습니다.
이런 분들을 위해 정부에서 제공하는 대표적인 문화복지 정책이 바로
‘문화누리카드’입니다.
아직 신청하지 않으셨다면, 이 글에서 신청 자격, 방법, 사용처, 잔액 확인 방법,
재발급까지 모두 확인하실 수 있으니 꼭 끝까지 읽어보세요!
2025년 문화누리카드는 더 넓어진 사용처와 증가된 지원금으로 새롭게
돌아왔습니다.
문화누리카드란?
문화누리카드는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주관하는 문화복지 지원
사업입니다.
저소득층이 영화를 보고, 책을 읽고, 공연을 즐길 수 있도록 매년 일정 금액을 카드에 충전해주는 제도입니다.
2025년 문화누리카드 신청 자격
-
만 6세 이상
-
기초생활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
-
국내 거주 중인 내국인
만 6세 이상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고, 가구원 중 여러 명이 각각 신청해 발급받는 것도 가능합니다.
신청 기간 및 방법
-
신청 기간: 2025년 2월 3일(월) ~ 11월 28일(금)
-
신청 방법: 복지로 사이트 또는 앱, 주민센터
-
신청 시 공동인증서 로그인 후 자격 확인 절차 필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신청 가능하며, 카드 발급까지는 약 5~7일 정도 소요됩니다.
2025년 지원금액
-
1인당 14만 원 지원
-
2024년 사용 이력이 있고, 2025년 자격 유지 시 자동 재충전
자격 유지자에게는 별도 신청 없이 자동으로 충전되며, 2월 3일부터 사용 가능합니다.
사용 기간
-
사용 시작일: 2025년 2월 3일(월)
-
사용 마감일: 2025년 12월 31일(수) 자정
지원금은 해당 연도 내에 모두 사용해야 하며, 잔액은 이월되지 않습니다.
오프라인 사용처
-
CGV, 롯데시네마, 메가박스 등 영화관
-
예술의전당, 국립극장 등 공연장
-
전국 서점 및 음반 매장
-
국내 여행지, 테마파크, 체육시설 등
온라인 사용처
-
인터파크 티켓
-
YES24, 교보문고, 알라딘
-
온라인 문화강좌 플랫폼(제휴처)
-
멜론, 벅스 등 일부 음원 플랫폼
문화누리카드 홈페이지나 복지로에서 사용 가능한 온라인 가맹점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잔액 확인 및 충전 방법
-
복지로 앱 또는 웹사이트에서 ‘잔액조회’ 메뉴 이용
-
자동 충전된 금액만 사용 가능 (자비 충전 불가)
카드 분실 및 재발급
-
분실 즉시 신고 후 재발급 신청
-
기존 잔액은 자동 이관
-
신분증, 신고서, 수수료(약 3,000원) 필요
자주 묻는 질문
Q. 가족 여러 명이 신청할 수 있나요?
A. 네, 자격 요건을 충족하면 가구원 모두 개별 카드 발급 가능합니다.
A. 아니요. 사용하지 않은 금액은 12월 31일 이후 소멸됩니다.
A. 아닙니다. 온라인 가맹점에서 카드로 결제만 하면 됩니다.
A. 일부 체류자격을 갖춘 외국인은 가능하지만, 주민센터에서 자격 확인이
필요합니다.
Q. 잔액을 다음 해로 이월할 수 있나요?
Q. 온라인 사용은 별도 인증이 필요한가요?
Q. 외국인도 신청 가능한가요?
마무리
2025년 문화누리카드는 더 강력해진 혜택과 넓어진 사용처로 돌아왔습니다.
간편한 신청과 풍성한 혜택을 놓치지 마시고 지금 바로 신청해보세요!


